본문 바로가기
주식

에스티팜 올리고 고지혈증 치료제는 4Q22부터 가시화될 전망이다

by AL LEE ME 2022. 10. 13.

에스티팜, 3Q22 실적 전망

에스티팜의 3Q22 실적은 매출액 652억 원(+40.8% yoy, +27.6% qoq), 영업이익 74억 원(-5.1% yoy, +111.4% qoq)으로 컨센서스를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리고 고지혈증 치료제 물량 공급이 9월말에서 11월말로 지연됨에 따라 실적 서프라이즈는 없다. 컨센서스 부합의 이유는 공급지연과 추가수주가 아직 나오지 않았음에도 환율효과와 생산수율이 좋아졌다.

 

 

고지혈증 치료제 물량 대부분의 매출과 mRNA 수주가 4Q22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달러 강세가 지속으로 3Q보다 4Q의 전망이 더 좋아보인다. RNAi(올리고 기반)치료제들의 지속적인 신약 승인과 적응증 확대에 따라 시장 자체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올리고 기반 치료제들의 사용화 증가와 양호한 임상 데이터가 올리고 시장의 성장을 이끈다. 

에스티팜 실적 추이 및 전망을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에스티팜 실적 추이 및 전망

에스티팜의 선제적 캐파 증설과 cGMP 승인으로 상업화 원료 추가 수주 시 성장 모멘텀은 더욱 부각될 것이며, 2023년부터 척수성근위축증 상업화 원료 공급 확정이 예정되어 있다. 1H23까지 약 4건의 FDA PAI 실사가 예정되어 있기에 올리고 기반 신약들의 상업화 원료 수주가 머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2023년초에는 제론의 골수이형성증후군 치료제의 임상3상 결과가 나온다. 아이오니스의 고지혈증 치료제와 심혈관질환 치료제의 임상3상이 진행중이며 시장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어 후기 임상 단계 도입에 필요한 수주가 기대된다.

 

에스티팜 목표주가

이베스트투자증권은 3Q22분기에 에스티팜의 목표주가로 120,000원을 제시한다. 현재(10/11) 에스티팜의 주가는 79,400원이다. 올리고 매출은 4Q22부터 가시화 될 예정이며 빅파마와 합동 증설한 생산시설 매출은 연말부터 소량 인식되어 2023년 JUMP UP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