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디엔에프, 반도체 핵심 소재 물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다

by AL LEE ME 2022. 9. 13.

디엔에프, 2022년 실적

디엔에프의 2022년 상반기 매출액은 690억 원(+23.2% YoY), 영업이익 88억 원(+137.7%)을 시현하였다. High-K 등 주력 소재 공급 증가와 반도체 신규 소재 공급 때문이라고 파악된다. 하반기에는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주력 소재 공급 증가 추세가 이어져 호실적이 지속될 전망이다.

 

 

반도체 핵심 소재 증가세

미세패턴 구현을 위해 패터닝용 희생막 재료 DPT와 Capacitor 유전막 및 Metal Gate 절연막으로 사용되는 High-K 중심으로 규모가 확대되었다. 품목별 상반기 매출액은 DPT부문이 134억 원(+3.8%), High-K 부문이 125억 원(+22.5%)을 시현하며 하반기에는 DPT 물량이 증가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디엔에프 연강 영업이익 추이 및 전망을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디엔에프 연간 영업이익 추이 및 전망

DRAM 생산 공정에서 미세선폭 공정이 많아지면서 멀티 패터닝용 희생막 재료 DPT와 유전율이 높은 High-K 전구체 수요가 비례하며 증가하는 추세다. 전방 고객사의 지분 투자 이후 주요 소재 공급 증가가 확인되고 있는 만큼 향후 DDRS를 중심으로 한 미세공정 수요 증가의 수혜가 전망된다. 

 

동사의 2022년 매출액은 1,469억 원(+15.6% YoY), 영업이익 200억 원(+80.1% YoY)이 추정된다. 2023년 CAPA 확대와 2024년 신규 아이템 확장으로 매년 안정적인 외형 성장과 더불어 이익 모멘텀이 확대되는 구간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소재 업체 특성상 수십 종류의 케미컬 레시피를 조합하고 안정화된 물성 테스트를 위해 시간은 필요하지만, 한번 적용되면 오랜기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High-K 부문에서 전방 고객사의 국산화 비중이 낮은 만큼 향후 전방 수요 증가 수혜와 더불어 점유율 확대까지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디엔에프는 디스플레이 소재와 반도체 신규 소재 등의 다양한 부문에서 선행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디엔에프의 현재 주가는 15,900원이다. 신함금융투자에서는 3Q22분기에 디엔에프의 목표주가를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