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란?
6월부터 신청할 수 있는 상품으로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소득에 따라 정부지원금의 매칭 비율이 다르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으실 수 있지만, 소득이 아예 없다면 가입하실 수 없습니다.
광고
고물가에 경기불황으로 묵돈 만들기 어려운 지금 청년도약계좌를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과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비율 등 운영 방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입대상
- 만 19~34세 청년
-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개인소득 6,000 ~ 7,500만 원,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도 가입은 가능하지만 정부 기여금 지급 없이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부여
납입 방법
-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
-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 기여금 지원
-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 적용
광고
정부기여금은 개인소득과 납부 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이 2,400만 원 이하일 경우 매월 40만 원을 저축하면 매칭비율이 최대 6% 적용되어 매월 2만 4천 원씩 기여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개인소득이 6,000만 원 ~ 7,500만 원일 경우 정부 기여금 지원 없이 비과세 혜택만 제공됩니다.
금리
-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등금리 적용
- 저소득층 청년(2,400만원 이하)은 우대금리 부여
다른 정책 금융 상품과 중복 가입 가능 여부
-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중복으로 가입가능하지만, 청년희망적금의 경우에는 해지하거나 만기가 되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신청방법
- 취급기관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 가능
- 서민금융진흥원 콜센터 (1397) 문의 가능
광고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차 건강지원금 신청 조건과 검사 비용 알아보기 (0) | 2024.03.23 |
---|---|
에너지캐시백 인센티브 산정방식과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6.06 |
풍수해 보험 가입대상과 지원내용 알아보기 (0) | 2023.06.03 |
자동차 환급금이란? 자동차 환급금 조회 방법 알아보기 (0) | 2023.05.28 |
착한 운전 마일리지 혜택 내용과 신청 방법 알아보기 (0) | 2023.05.28 |
댓글